사서추천

  1.  HOME
  2. 자료검색
  3. 추천도서
  4. 사서추천
삼각뿔 속의 잠
  • 삼각뿔 속의 잠
  • 저자 : 임희진 시
  • 출판사 : 문학동네
  • 출판년도 : 2024
  • 청구기호 : 811.8 임희진ㅅ

제12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 수상작인 임희진 시인의 시집이 출간되었다. 어느덧 12회를 맞이한 문학동네동시문학상은 그동안 새로운 동시와 동시인을 주목하고 발굴하며 꾸준히 지평을 넓혀 왔다. 『삼각뿔 속의 잠』은 이번 공모전에 응모된 작품들 중 “날카로운 촉수로 독자를 찔러 화학적 반응을 유발”(김개미)하며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동심의 가장 근원적 형태인 ‘질문’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유강희) 주며 “뚜렷한 목소리로 감정을 공들여 매만지면서 화자의 상을 구체적으로 그려”(김준현) 냈다는 찬사와 함께 대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삼각뿔’이라는 생소하면서도 흥미로운 시적 공간으로 안내하는 임희진의 동시 세계로 들어가 보자. 골목마다 ‘나’를 찾는 질문들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미로 찾기의 시간에 독자들을 초대한다.

소장위치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122341 아동자료 811.8 임희진ㅅ 대출중 20250208 예약하기

연령별 선호도

 

동일 저자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아이들의 시작 작은학교의 시인들 지음 EM0000123973 811.8 작은학ㅇ
엄마, 그 붉은 니르바나 장계현 EM0000417698 811.8 장14ㅇ
엄마 몰래 장동이 지음 EM0000115943 811.8 장225ㅇ
파란 밥그릇 장동이 시 EM0000127274 811.8 장225ㅍ
엄마 몰래 장동이 지음 EM0000124793 811.8 장25ㅇ

동일 주제 다른 책 정보

서명 저자 등록번호 청구기호
부엉이를 만났다 임창아 글 EM0000174036 811.8 임창아ㅂ
부엉이를 만났다 임창아 글 EM0000351644 811.8 임창아ㅂ
담과 담쟁이와 고양이 : 임창아 시 임창아 지음 EM0000337596 811.8 임창아ㄷ
동시가 있는 텃밭 : 임숙례 동시집 임숙례 글·그림 EM0000123540 811.8 임숙례ㄷ
코뿔소 모자 씌우기 임수현 지음 EM0000057768 811.8 임수현ㅋ

같은 책 소장정보

도서관명 등록번호 소장위치 청구기호 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울릉도서관 EM0122341 아동자료 아811.8 임희진ㅅ 대출중 20250208
고령도서관 EM118152 어린이자료실 아811.8 임98ㅅ 대출가능
영일도서관 EM0095725 어린이자료실 아811.8 임97ㅅ 대출가능
경상북도교육청문화원 EM0061405 아동도서 아811.8 임희진ㅅ 대출가능
점촌도서관가은분관 EM100713 작은책방 아동811.8 임희진ㅅ 대출가능
영양도서관 EM0137405 어린이자료실 아동811.8 임98ㅅ 대출가능

포털 사이트 연동 상세정보

저자 임희진
출판사 문학동네
출간일 20241108
ISBN 9791141607951
정가
요약 제12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 수상작나는 몇 개짜리 퍼즐일까요?나를 얼마나 발견해야 나를 안다고 할 수 있을까요?초록 불빛이 깜빡깜빡집에 가서 충전해야겠어난 예민한 아이니까“우리 동시에 ‘예민한 아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조명해야 할 몫이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_유강희(시인, 심사위원)제12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 수상작제12회 문학동네동시문학상 대상 수상작인 임희진 시인의『삼각뿔 속의 잠』이 출간되었다. 어느덧 12회를 맞이한 문학동네동시문학상은 그동안 새로운 동시와 동시인을 주목하고 발굴하며 꾸준히 지평을 넓혀 왔다. 『삼각뿔 속의 잠』은 이번 공모전에 응모된 작품들 중 “날카로운 촉수로 독자를 찔러 화학적 반응을 유발”(김개미)하며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동심의 가장 근원적 형태인 ‘질문’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유강희) 주며 “뚜렷한 목소리로 감정을 공들여 매만지면서 화자의 상을 구체적으로 그려”(김준현) 냈다는 찬사와 함께 대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삼각뿔’이라는 생소하면서도 흥미로운 시적 공간으로 안내하는 임희진의 동시 세계로 들어가 보자. 골목마다 ‘나’를 찾는 질문들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미로 찾기의 시간에 독자들을 초대한다.